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5급 어문회 기출문제
- 어문회 2급 기출 분석
- 한자어문회 준특급 사자성어
- 어문회 1급 기출문제
- 관재
- 1급 기출문제
- 3급 기출문제
- 어문회 3급 기출문제
- 한자어문회 5급 기출문제
- 1급기출문제
- 개술/약술/상술
- 백절불굴
- 영겁/순간/찰나
- 준특급 기출문제
- 어문회 2급 기출문제
- 4급 어문회 기출 문제
- 4급 어문회 기출문제
-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 독음
- 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 선공후사
- 준특급 독음 기출
- 2급 어문회 기출문제
- 군계일학
-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
- 어문회1급 기출문제
- 107회 한자어문회
- 인순고식
- 4급 한자어문회 기출문제
- 목설
- 녹양방초
Archives
- Today
- Total
기(출)분(석)좋다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95~106회) 분석 14 독음 및 독음 뜻 ‘ㅂ, ㅅ’ 본문
728x90
11월 9일 107회 한자어문회 대비해서 참고하여 점검하세요
(95회에서 106회까지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출제 횟수를 단어 옆에 숫자로 표시,
숫자표시가 없는 단어는 1번 출제됨)
剝片(박편) 蟠桃(반도) 斑禿(반독) 潑剌(발랄) 發靷(발인) 方冪(방멱)
防黴(방미) 邦甸(방전) 蚌鷸(방휼)4 蕃茄(번가) 蕃椒(번초) 幡蓋(번개)
藩籬(번리) 飜飇(번표) 癖塊(벽괴) 別輦(별련) 別墅(별서)3 秉彛(병이)
炳彪(병표) 報賽(보새) 缶鼓(부고) 副輦(부련) 鳧樽(부준)2 鳧雁(부안)
斧鉞(부월) 噴湧(분용) 臂膊(비박)2 裨將(비장) 牝畜(빈축)2 牝鷄(빈계)
梭餠(사병)2 奢佚(사일) 肆廛(사전)2 紗紬(사주) 蒜艾(산애)2
刪蔓(산만) 山礬(산반) 璽書(새서) 賽錢(새전) 犀角(서각)2 絮縷(서루)
鋤剔(서척) 棲遑(서황) 鼠蹊(서혜) 錫賚(석뢰)2 扇叩(선고) 璿璣(선기)
褻翫(설완) 細鱗(세린) 垂簾瀑(수렴폭) 綏撫(수무)2 茱萸(수유) 搜剔(수척)
瘦斃(수폐) 瘦瘠(수척) 巡邏(순라)2 淳鹵(순로) 瀟湘(소상) 瀟灑(소쇄)
梳櫛(소즐) 梳灑(소쇄) 灑掃(쇄소) 簫瑟(소슬) 蝨甫(슬보) 濕痺(습비)
翅翼(시익)2 猜憚(시탄)2 蓍草(시초) 豕喙(시훼)2 寔景(식경) 宸翰(신한)
燼灰(신회) 晨暉(신휘)2 悉曇(실담)
剝片(박편) ; 벗겨져 떨어진 조각. 몸돌에서 떼어낸 돌조각
蟠桃(반도) ; 삼천 년마다 한 번씩 열매가 열린다는 선경에 있는 복숭아
斑禿(반독) ; 머리털이 짧은 기간 동안 군데군데 빠지는 병
潑剌(발랄) ; 표정이나 행동이 밝고 활기가 있음
發靷(발인) ; 장례를 지내러 가기 위하여 상여 따위가 집에서 떠남, 또는 그런 절차
方冪(방멱) ; 어떤 한 점 P를 지나는 임의의 직선이 定圓(정원) O와 만나는 점을 A, B라 할 때
선분 PA와 PB의 곱
防黴(방미) ;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막음
邦甸(방전) ; 200리 안쪽
蚌鷸(방휼)4 ; 방합(조개)과 도요새
蕃茄(번가) ; 가짓과의 한해살이풀. 토마토와 비슷함
蕃椒(번초) ; 가짓과의 한해살이풀. 고추와 비슷함
幡蓋(번개) ; 장대에 걸어 늘어뜨린 천이나 덮개 모양
藩籬(번리) ; 풀이나 나무 따위를 얽거나 엮어서 담 대신에 경계를 지어 막는 물건
飜飇(번표) ; 모진 바람에 뒤집힘
癖塊(벽괴) ; 몸 안에 뭉쳐 있는 혹 덩어리
別輦(별련) ; 특별히 만든 수레
別墅(별서)3 ; 농장이나 들이 있는 부근에 한적하게 따로 지은 집으로 별장과 비슷하나
농사를 짓는다는 점이 다름
秉彛(병이) ; 타고난 천성을 그대로 지킴
炳彪(병표) ; 호랑이
報賽(보새) ; 해마다 가을에 농사를 끝마친 뒤 신의 은덕에 보답하기 위하여 지내던 제사
缶鼓(부고) ; 굿에서 무당이 축원할 때에 바가지를 물 위에 엎어 놓고 북처럼 두드리는 일
副輦(부련) ; 거동 때에 임금이 탄 거가(임금의 수레)보다 앞장서서 가는 빈 연(가마)
鳧樽(부준)2 ; 물오리 모양으로 만든 술잔
鳧雁(부안) ; 편경(아악기) 틀을 꽂는 기러기 모양으로 생긴 부품
斧鉞(부월) ; 작은 도끼와 큰 도끼
噴湧(분용) ; 물이 세차게 뿜어 솟아오름. 느낌이나 생각이 북받쳐 오름
臂膊(비박)2 ; 팔과 어깨
裨將(비장) ; 조선 시대에 감사(관찰사) · 유수(수도 이외의 요긴한 곳을 맡아 다스리던
정이품의 외관 벼슬) · 병사(병마절도사) · 수사(수군절도사) · 견외 사신을
따라다니며 일을 돕던 무관 벼슬
牝畜(빈축)2 ; 가축의 암컷
牝鷄(빈계) ; 닭의 암컷
梭餠(사병)2 ; 전염병이 돌 때 전염병을 예방한다 하여 베틀의 북으로 식구 수대로 쌀을 떠서
만들어 먹던 백설기
奢佚(사일) ; 사치스럽고 방탕하게 놂
肆廛(사전)2 ; 작은 규모로 물건을 파는 집
紗紬(사주) ; 비단
蒜艾(산애)2 ; 달래와 쑥
刪蔓(산만) ; 편지에서 인사는 생략하고 바로 할 말을 적겠다는 뜻으로 첫머리에 쓰는 말
山礬(산반) ; 산에서 나는 명반(유황을 함유한 일종의 광물)
璽書(새서) ; 옥새가 찍혀 있는 문서
賽錢(새전) ; 신령이나 부처 앞에 돈을 바침. 또는 그 돈
犀角(서각)2 ; 무소의 뿔. 결이 곱고 누른빛이나 검은빛의 꽃무늬가 있음.
술잔 따위를 만듦
絮縷(서루) ; 솜과 실
鋤剔(서척) ; 존재하지 못하게 없애 버림
棲遑(서황) ; 몸을 붙이고 살 곳이 없음
鼠蹊(서혜) ; 샅(두 다리 사이)
錫賚(석뢰)2 ; 임금이 신하에게, 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물건을 줌
扇叩(선고) ; 부채질함
璿璣(선기) ; 璿璣玉衡(선기옥형)~ 혼천의(천문의기)
褻翫(설완) ; 가까이 두고 즐겨 구경함
細鱗(세린) ; 물고기의 잔비늘. 작은 물고기
垂簾瀑(수렴폭) ; 발을 드리움. 임금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을 때 왕대비나 대왕대비가
이를 도와 정사를 돌보던 일로 왕대비가 신하를 접견할 때 그 앞에 발을
늘인 데서 유래함
綏撫(수무)2 ; 편안하게 하고 어루만져 달램
茱萸(수유) ; 쉬나무의 열매. 자주색으로 기름을 짜서 머릿기름으로 씀
搜剔(수척) ; 샅샅이 찾음
瘦斃(수폐) ; 옥중에서 야위어 죽음
瘦瘠(수척) ; 얼굴이나 몸이 야위어 건강하지 않게 보이는 상태에 있음
巡邏(순라)2 ; 순라군이 경계하느라고 일정한 지역을 돌아다니거나 지키던 일.
조선시대에, 도둑 · 화재 따위를 경계하기 위하여 밤에 궁중과 장안 안팎을 순찰하던
군졸. ‘술래’의 원말
瀟湘(소상) ; 중국 후난 성 동정호의 남쪽에 있는 소수(瀟水)와 상강(湘江).
그 부근에는 경치가 아름다운 소상팔경이 있음
瀟灑(소쇄) ; 맑고 깨끗함
梳櫛(소즐) ; 빗질. 머리카락이나 털 따위를 빗으로 빗는 일
梳灑(소쇄) ; 머리를 빗고 낯을 씻음
灑掃(쇄소) ; 물을 뿌리고 비로 쓰는 일
簫瑟(소슬) ; 으스스하고 쓸쓸하다
蝨甫(슬보) ; 잇과의 곤충
濕痺(습비) ; 습기로 말미암아 뼈마디가 저리고 쑤시는 병
翅翼(시익)2 ; 날개. 새나 곤충의 몸 양쪽에 붙어서 날아다니는 데 쓰는 기관
猜憚(시탄)2 ; 시기하여 꺼림
蓍草(시초)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豕喙(시훼)2 ; 돼지 주둥아리. 인상에 욕심이 많아 보이는 사람
寔景(식경) ; 매우 좋은 경치
宸翰(신한) ; 임금이 몸소 쓴 문서나 편지
燼灰(신회) ; 타다 남은 재와 찌꺼기
晨暉(신휘)2 ; 아침의 햇빛
悉曇(실담) ; 굽타 문자에서 발달한 문자인 싯다마트리카체가 6세기경 중국으로 들어가
변화한 것으로, 음절 문자와 음소문자의 속성이 섞여 있는 문자.
성스러운 문자라는 뜻으로 주로 불교 경전을 적는데 쓰였으며 6세기~12세기에
걸쳐 한국과 일본에서도 쓰였음
'한자어문회 준특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95~106회) 분석 16 독음 및 독음 뜻 ‘ㅊ, ㅋ, ㅌ, ㅍ, ㅎ’ (2) | 2024.10.25 |
---|---|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95~106회) 분석 15 독음 및 독음 뜻 ‘ㅇ, ㅈ’ (2) | 2024.10.24 |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95~106회) 분석 13 독음 및 독음 뜻 ‘ㄴ, ㄷ, ㅁ’ (1) | 2024.10.23 |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95~106회) 분석 12 독음 및 독음 뜻 ‘ㄱ’ (0) | 2024.10.23 |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95~106회) 분석 11 한자어 뜻, 장음, 부수 (1) | 202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