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한자어문회 준특급 사자성어
- 어문회 2급 기출문제
- 5급 어문회 기출문제
- 한자어문회 5급 기출문제
- 어문회 3급 기출문제
- 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 4급 한자어문회 기출문제
- 준특급 독음 기출
-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 독음
- 개술/약술/상술
- 목설
- 녹양방초
- 4급 어문회 기출 문제
- 준특급 기출문제
- 어문회1급 기출문제
- 인순고식
- 2급 어문회 기출문제
- 어문회 2급 기출 분석
- 1급기출문제
- 관재
- 군계일학
- 1급 기출문제
- 3급 기출문제
- 4급 어문회 기출문제
- 선공후사
- 영겁/순간/찰나
- 어문회 1급 기출문제
- 107회 한자어문회
- 백절불굴
-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
Archives
- Today
- Total
기(출)분(석)좋다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95~106회) 분석 13 독음 및 독음 뜻 ‘ㄴ, ㄷ, ㅁ’ 본문
728x90
11월 9일 107회 한자어문회 대비해서 참고하여 점검하세요.
(95회에서 106회까지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출제 횟수를 단어 옆에 숫자로 표시,
숫자표시가 없는 단어는 1번 출제됨)
拿鞫(나국) 儺藝(나예) 喇叭(나발/팔) 藍紡(남방) 蠟嘴(납취) 擄掠(노략)
鹵莽(노망) 虜鋒(노봉) 綠礬(녹반) 瀧瀧(농롱) 聾窩(농와) 牢籠(뇌롱)
磊嵬(뇌외)2 訥澁(눌삽) 凜凜(늠름) 凜烈(늠렬)
茶匙(다시) 團欒(단란)2 湍流(단류) 彖辭(단사) 聃丘(담구) 曇鸞(담란)
湛軒(담헌) 戇朴(당박)2 戇直(당직) 幢幡(당번) 玳瑁(대모) 韜藉(도자)
堵墻(도장) 塗竄(도찬) 毒嘴(독취) 遯竄(돈찬) 疼羸(동리) 東瀛(동영)
斗斛(두곡)2 纛祭(독/둑제) 臀癰(둔옹) 燈龕(등감)
瑪竇(마두) 摩訶衍庵(마하연암) 晩蟬(만선) 萬壑千峯(만학천봉)
冪積(멱적) 冕旒(면류) 綿邈(면막) 麪床(면상) 蓂莢(명협) 毛菫(모근)
牡蠣(모려) 牡痔(모치) 鶩泄(목설)2 木棧(목잔) 朦朧(몽롱) 錨鎖(묘쇄)2
渺然(묘연) 繆篆(무전)2 刎頸(문경) 蚊蠅(문승)
拿鞫(나국) ; 죄인을 잡아다 국문함
儺藝(나예) ; 산대놀음.
탈을 쓰고 큰 길가나 빈 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喇叭(나발/팔) ; 옛 관악기의 하나. 놋쇠로 긴 대롱같이 만드는데 위는 가늘고 끝은 퍼진
모양으로 군중에서 호령하거나 신호하는데 썼음.
지껄이거나 떠들어 대는 입을 속되게 이르는 말
藍紡(남방) ; 남색 실이나 비단
蠟嘴(납취) ; 고지새(되샛과의 새.
擄掠(노략) ; 떼를 지어 돌아다니며 사람과 재물을 약탈함
鹵莽(노망) ; 거칠고 서투름
虜鋒(노봉) ; 적군의 칼날
綠礬(녹반) ; 철의 황산염의 하나. 철을 묽은 황산에 녹여서 만든 녹색 결정 물질로 잉크, 의약,
매염제(물감은 아니지만 물이 잘 들게 해주는 물질) 따위로 쓰임 화학시은 FeSO₄
瀧瀧(농롱) ; 물이 흐르는 소리. 비가 내리는 모양
聾窩(농와) ; 조선 허채의 호(號) . 조선 이언순의 호
牢籠(뇌롱) ; 새장과 고삐. 남을 교묘한 꾀로 휘어잡아서 제 마음대로 놀리거나 이용함
磊嵬(뇌외)2 ; 높고 크고 험준함. 또는 그런 모양
訥澁(눌삽) ; 말이 더듬거려 잘 나오지 않아 듣기에 답답함
凜凜(늠름) ; 의젓하고 당당함
凜烈(늠렬) ; 추위가 살을 엘 듯이 심함
茶匙(다시) ; 차를 마실 때 쓰는 작은 숟가락
團欒(단란)2 ; 빈 구석이 없이 매우 원만함. 친밀하게 한 곳에서 즐김
湍流(단류) ; 급하고 세차게 흐르는 물
彖辭(단사) ; 彖(단)詞(사) 繫辭(계사)의
聃丘(담구) ; 노자와 공자 耼丘(담구)
曇鸞(담란) ; (인명) 중국 淨土敎(정토교; 이승에서 염불을 닦아 죽은 뒤에 종토왕생을 얻기를
바라는 교법)의 선구자
湛軒(담헌) ; 조선 홍대홍의 호
戇朴(당박)2 ; 어리석고 순후함
戇直(당직) ; 어리석고 곧음
幢幡(당번) ; 당(기, 수레휘장, 막)과 번(깃발)을 겹치어 만든 기(불교용어)
玳瑁(대모) ; 거북 등껍질
韜藉(도자) ; 신주(죽은 사람의 위패)를 모시는 궤를 씌우는 집으로 비단을 겹으로 포개
붙여 만듦
堵墻(도장) ; 집이나 일정한 공간을 둘러막기 위하여 흙, 돌, 벽돌 따위로 쌓아 올린 것
塗竄(도찬) ; 문장의 글귀를 지우거나 다시 고쳐 씀
毒嘴(독취) ; 독살스러운 부리. 악독한 말을 옮기는 사람의 입
遯竄(돈찬) ; 도망하여 숨음
疼羸(동리) ; 아프고 피곤함
東瀛(동영) ; 동쪽바다
斗斛(두곡)2 ; 곡식을 되는 말(부피의 단위)과 휘(곡식의 분량을 헤아리는데 쓰는 그릇)를
아울러 이르는 말. 되질하는 일
纛祭(독/둑제) ; 임금의 행차나 군대의 행렬 앞에 세우는 둑에 지내던 제사
臀癰(둔옹) ; 볼기짝이나 그 근처에 나는 종기
燈龕(등감) ; 등잔을 놓기 위하여 벽의 한 부분을 차서 만든 자리
瑪竇(마두) ; 聖마테오리치의 음차 표기
摩訶衍庵(마하연암) ; 금강산에 있는 마하연의 암자
晩蟬(만선) ; 저녁에 우는 매미. 철 늦게 우는 매미
萬壑千峯(만학천봉) ; 첩첩이 겹쳐진 깊고 큰 골짜기와 수많은 산봉우리
冪積(멱적) ; 거듭제곱
冕旒(면류) ; 면류관의 앞뒤에 늘어뜨린 구슬꿰미
綿邈(면막) ; 매우 멀고 아득함
麪床(면상) ; 국수나 만둣국을 주식으로 차린 상
蓂莢(명협) ; 중국 요임금 때 났었다는 전설상의 상서로운 풀.
초하루부터 보름까지 하루에 한 잎씩 났다가, 열엿새부터 그믐까지 하루에
한 잎씩 떨어지고, 작은달에는 마지막 한 잎이 시들기만 하고 떨어지지 않았다
하여 달력 풀 또는 책력 풀이라고 함
毛菫(모근) ;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
牡蠣(모려) ; 굴의 살을 말린 것
牡痔(모치) ; 항문 밖으로 콩알이나 엄지손가락만 한 것이 두드러져 나오는 치질
泄(목설)2 ; 배가 부르고 아프며 설사가 나는 병으로 오리 똥과 같은 검푸른 묽은 변을 보게 됨
木棧(목잔) ; 나무로 사다리처럼 놓은 길
朦朧(몽롱) ; 달빛이 흐릿함. 어른어른하여 희미함. 의식이 흐리멍덩함
錨鎖(묘쇄)2 ; 닻에 연결된 쇠사슬
渺然(묘연) ; 넓고 멀어서 아득함
繆篆(무전)2 ; 六體書(육체서)의 하나로 八體(팔체)의 모인(옥새 글자에 쓰던 글씨체)과 같이
도장의 크기와 글자의 수에 따라 맞추어 새기는 글자체임.
중국 한나라 때 인각(도장을 새김)에 썼음
刎頸(문경) ; 목을 벰. 해고 또는 해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蚊蠅(문승) ; 모기와 파리
'한자어문회 준특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95~106회) 분석 15 독음 및 독음 뜻 ‘ㅇ, ㅈ’ (2) | 2024.10.24 |
---|---|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95~106회) 분석 14 독음 및 독음 뜻 ‘ㅂ, ㅅ’ (1) | 2024.10.23 |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95~106회) 분석 12 독음 및 독음 뜻 ‘ㄱ’ (0) | 2024.10.23 |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95~106회) 분석 11 한자어 뜻, 장음, 부수 (1) | 2024.10.22 |
한자어문회 준특급 기출문제 (95~106회) 분석 10 동음이의어 (9) | 2024.10.20 |